말씀 영상/존 맥아더(John MacArthur)

John MacArthur 2.1 - Slaves for Christ (Long Ver.) (16분 12초)

방자망 2014. 3. 26. 17:26

 



존 맥아더 목사님의 <그리스도의 노예> 설교 영상의 조금 더 긴 버전.

꼭 들어보시길...

Oh, what a great privilege it is to be a slave of Jesus Christ...

**************************************************************************************************************************

When you give somebody the Gospel, you are saying to them "I would like to invite you to become a slave of Jesus Christ."
당신이 누군가에게 복음을 전할 때, 당신은 그들에게 "저는 당신을 예수 그리스도의 노예로 초대합니다."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I would like to invite you to give up your independence, give up your freedom, submit yourself to an alien will, abandon all your rights, be owned by, controlled by the Lord."
"당신의 독립을 포기하고, 당신의 자유를 포기하고, 자신을 타의에 복종시키고, 당신의 모든 권리들을 버리고, 주님께 소유되고, 주님께 지배되는 길로 당신을 초대합니다."

That's really the Gospel.
사실 그것이 복음입니다.

We're asking people to become slaves.
우리는 사람들에게 노예가 되라고 요청하는 겁니다.

I don't hear a lot of that slave talk today, do you?
저는 오늘날 그런 노예 용어를 많이 못듣는데, 여러분은 어떻습니까?

.
.
.

In... back in Galatians chapter one and verse ten...
갈라디아서 1장 10절로 돌아가보면...

Paul says it again, the end of the verse, he says, "If I was trying to please men, I would not be a slave of Christ."
바울은 다시 말합니다, 그 구절 끝에, 그는 "내가 지금까지 사람들의 기쁨을 구하였다면 그리스도의 종(노예)이 아니니라"라고 말합니다.

Now, he understood what slavery meant.
자, 그는 노예의 의미를 이해하고 있었습니다.

"I only do what pleases my Master."
"저는 제 주인님을 기쁘게 해드리는 일만 합니다."

This is the singular focus of being a slave.
이것이 노예 됨의 단 유일한 초점입니다.

You don't have to please a lot of people, you just please one.
당신은 많은 사람들을 기쁘게 할 필요가 없고, 오직 한 분만을 기쁘게 해드립니다.

That metaphor is critical to understanding our relationship to the Lord.
그 비유는 우리와 주님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결정적으로 중요합니다.

If we're gonna talk about a personal relationship to Christ and to God, then our personal relationship is 'We're slaves.'
만약 우리가 그리스도와 하나님과의 개인적인 관계에 대해 얘기할 거면, 우리의 개인적인 관계는 '우리는 노예'입니다.

That's the best way to define that relationship.
그것이 그 관계를 정의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입니다.

And Paul here tells us; it means that we only please Him.
그리고 바울은 여기서 우리에게 말합니다; 그 의미는 우리는 오직 그분만을 기쁘게 해드린다는 뜻입니다.

.
.
.

When you confess Jesus as Lord, you are at the same time confessing yourself as slave.
당신이 예수님을 주님이라고 고백할 때, 당신은 동시에 자신을 노예라고 고백하는 것입니다.

.
.
.

A slave is someone who's life belongs totally to someone else: absolute ownership, absolute control, absolute subjection, absolute obedience, absolute loyalty, absolute dependence...
노예는 그의 생명이 전적으로 다른 이에게 속해 있는 사람입니다: 절대적 소유권, 절대적 통제, 절대적 복종, 절대적 순종, 절대적 충성, 절대적 의존...

Now, if you don't grasp that idea of slavery and a lot of us we miss it, because it's been hidden from our English text...
자, 만약 당신이 노예의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면, 그리고 우리 영어 본문에서는 숨겨져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그것을 놓치는데...

It's hard for us to really understand the essence of what it is to be a Christian.
그리스도인이 된다는 것의 본질을 정말로 이해하기가 어렵습니다.

You are a slave of Jesus Christ.
당신은 예수 그리스도의 노예입니다.

You are owned.
당신은 소유된 것입니다.

You have been purchased by His blood.
(주님께서) 당신을 그분의 피로 사셨습니다.

.
.
.

"If any man will come after me, let him... DENY HIMSELF."
"아무든지 나를 따라오려거든... 자기를 부인하고"

That's slave talk.
그것은 노예 용어입니다.

That's slave talk.
그것은 노예 용어입니다.

"Take up his cross and follow me."
"제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를 것이니라"

It's the end of you.
당신은 끝입니다.

The end of your life.
당신의 삶은 끝입니다.

You're finished.
당신은 끝난 것입니다.

It's over.
끝났습니다.

You're done.
당신은 끝났습니다.

You're now the slave of Jesus Christ.
당신은 이제 예수 그리스도의 노예입니다.

.
.
.

What a joy to be a slave of Christ!
그리스도의 노예가 된다는 것이 얼마나 기쁩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