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스 바이블 소프트웨어 5 가지 기능 소개
로고스 바이블 소프트웨어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사실 이벤트라서 참여하는 것이긴 하지만, 신학생으로서 성경 및 신학 공부를 할 때 자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왕 참여하는 거 성의 있게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로고스에는 워낙 기능이 많아서 아직 조금밖에 모르지만, 제가 지금까지 사용하면서 특히 유용하다고 느낀 점 다섯 가지만 언급하도록 하겠습니다.
1. 성경 번역본에서 해당 원어 쉽게 찾기
로고스로 개역개정을 읽다가 특정 단어가 원어(히브리어/헬라어)로 뭔지 궁금할 수 있겠죠. 원어를 읽을 줄 아는 사람이라면 원어 성경을 따로 열어서 해당 원어 단어가 뭔지 확인한 후, 원어 사전(lexicon)을 열어서 해당 단어를 찾은 후에 뜻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로고스에서는 성경 번역본과 원문을 연결시켜주는 행간 성경(예: 개역개정 4판)을 보유하고 있을 경우 번역본에서 해당 단어를 마우스로 더블 클릭하면 바로 원어 사전에서 (사전을 보유하고 있을 경우) 찾아줍니다.
예 1) 창세기 1:1에서 "창조하시니라"를 더블 클릭하면 히브리어 사전(The Hebrew and Aramaic Lexicon of the Old Testament)에서 해당 원어인 ברא 를 찾아줍니다. 따로 사전을 열어놓지 않은 상황에서도 번역본 단어를 더블 클릭할 경우 사전 창을 띄워줍니다. (사진 ① 참고)
예 2) 로마서 3:25에서 "화목제물"을 더블 클릭하면 헬라어 사전(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3rd ed.)에서 해당 원어인 ἱλαστήριον을 찾아줍니다. (사진 ② 참고)
매번 원어 성경을 펴서 해당 단어를 확인한 후 사전에서 찾는 것보다 훨씬 간편하고 시간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물론 번역본이 아닌 원어 성경 본문에서 해당 원어를 더블 클릭해도 바로 사전이 찾아줍니다. 실제로 저희 신학교 히브리어 교수님께서도 HALOT과 같은 원어 사전은 인쇄본으로 가지고 있는 것보다 Logos와 같은 소프트웨어로 보유하고 있는 것이 훨씬 좋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리고 NASB나 ESV 같은 영어 번역본도 해당 interlinear 데이터를 보유할 경우 동일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번역본과 원본에서 대응되는 단어 나란히 표시
로고스에서는 성경 번역본과 원문을 나란히 비교하면서 볼 수 있는데, 한쪽의 특정 단어나 구(phrase)가 반대쪽의 어느 부분에 해당되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사진 ③을 보면 왼쪽 창에서는 이사야 53장을 히브리어 성경과 나란히 보고 있고, 오른쪽 창에서는 요한복음 3장을 헬라어 성경과 함께 보고 있습니다. 왼쪽의 경우에는 제가 마우스 커서로 "버림 받았으며" 부분에 올려놓았더니 히브리어 성경에서도 해당 단어가 하이라이트로 표시되고 있고, 왼쪽에서는 임의로 "그를 믿는 자마다 멸망하지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라" 부분을 마우스로 드래그해서 하이라이트 했더니 해당 헬라어 구도 동시에 하이라이트 되었습니다.
왼쪽 히브리어 성경 부분에서 보여드린 기능은 사진 상단에 빨간 원으로 표시한 점 3개 (= Visual filters) 부분을 클릭해서 corresponding words - same words를 체크 표시해주면 활성화되고, 오른쪽 헬라어 성경 부분에서 보여드린 기능은 동일한 visual filters에서 corresponding selection을 체크 표시해주면 됩니다.
3. 바이블 워드 스터디
아직 많이 사용해보진 않은 기능인데, 특정 단어에 대한 심층적 연구를 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특정 단어의 다양한 의미와 성경에서 각 의미로 사용된 비율 및 횟수를 확인할 수도 있고 (사진 ④ 참고), 그 단어와 관련된 문법적인 분석도 보여줍니다 (사진 ⑤ 참고).
4. 각주에 언급된 자료 연결
이쯤 되면 느끼셨겠지만, 로고스는 단순히 전자도서 모음집이 아닙니다. 자료 간의 유기적인 연결과 그것을 토대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들이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더 많은 자료를 보유할 수록 더 유용해지는 소프트웨어입니다.
예 1) 사진 ⑥을 보면 Kenneth Mathews의 NAC 창세기 주석을 읽고 있는데, Gordon Wenham의 WBC 창세기 주석 내용을 언급하면서 각주 표시가 되어 있습니다. 저는 Wenham의 창세기 주석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각주에 있는 페이지 번호를 클릭해서 해당 주석의 해당 페이지를 바로 불러올 수 있습니다. 반면에 로고스에서 해당 자료를 보유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불러오지 못합니다.
예 2) 사진 ⑦은 Lexham Research Commentary 로마서 주석인데, 이 시리즈는 심층적인 주석이라기보다는 특정 성경을 공부하기 시작할 때 사용하기 편한 주석으로서 해석의 논란이 있는 본문이나 주제에 대해 다양한 신학자들의 견해를 비교해주는 특징이 있습니다. 다른 주석을 인용할 때 한 문단 정도는 보여주지만 그 학자의 주장에 대해 더 알고 싶을 경우 해당 자료를 바로 불러올 수 있는 아이콘이 있는데, 그 자료를 보유할 경우에는 펼쳐진 책 모양이 보이고, 그 자료가 없을 경우에는 잠긴 자물쇠 모양이 보입니다.
5. 인쇄본 페이지 번호 표기
마지막으로는 실제 인쇄본의 페이지 번호, 즉 쪽수를 보여주는 기능입니다. 대단한 기능은 아니지만, 아마존 킨들과 같은 eBook은 많은 경우 실제 페이지 번호를 표기하지 않기 때문에 신학교에서 리포트(research paper)를 쓰거나 논문 또는 책을 쓸 때 조금 난감합니다. 하지만 다행히도 로고스 자료들은 페이지 번호를 보여주도록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 페이지 번호를 못 찾아서 문제가 되는 일은 없습니다. (사진 ⑧ 참고)
이 외에도 로고스의 기능들은 다양하고 제가 아직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부분도 많습니다. 현재 한국 로고스 측에서도 한글 자료를 소프트웨어에 옮기려고 많이 노력하는 것 같은데, 목회자, 신학자, 신학생, 그리고 성경 및 신학에 관심이 많은 분들에게는 매우 유용할 것 같습니다.
다음 유튜브 영상에서도 동일한 내용을 화면을 통해 보여드리면서 설명했으니 참고해주세요.
#Logos소개 #Logos추천
Logos 무료버전 다운로드: https://bit.ly/3fkPL48
본 이벤트는 Logos 소개 콘텐츠를 올릴 경우 소액의 Logos 적립금을 받게 됩니다.